동부주 (케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부주는 케냐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13년 이전에는 26개 구를 관할했으며, 2013년 이후에는 8개의 카운티로 세분화되었다. 찰비 사막, 케냐 산, 투르카나 호의 동쪽 절반을 포함하며, 면적은 140,698.6 km²로 케냐에서 두 번째로 넓다. 1979년 270만 명이었던 인구는 2009년 5,668,123명으로 증가했다. 주요 주민으로는 메루족, 캄바족, 엠부족 등이 있으며, 마르사비트, 이시올로, 메루, 마차코스 등 여러 도시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주 - 니안자주
니안자주는 케냐의 옛 행정 구역으로, 19개의 구와 6개의 카운티로 구성되었으며, 2009년 인구 조사에서 544만 명 이상의 인구를 기록했다. - 케냐의 주 - 나이로비주
나이로비주는 케냐의 주로서 3개의 현과 여러 지역으로 나뉘며 센트럴, 다고레티, 엠바카시 등 8개의 구역으로 구성된다. - 케냐의 행정 구역 - 바링고현
바링고 현은 케냐 리프트 밸리 주에 위치하며, 투르카나 주 등과 접경하고 면적은 8,655km²이며, 7개의 행정 구역과 30개의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고, 2019년 기준 666,763명이 거주하며, 농업에 기반한 경제와 관광 명소가 있고, 다니엘 아랍 모이 등의 유명 인물이 있는 지역이다. - 케냐의 행정 구역 - 보메트현
보메트현은 프랑스 북부 오드프랑스 지역 파드칼레 데파르트망의 코뮌으로, 아라스와 캉브레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온대 기후와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곡물 재배가 활발하고, 다양한 대학교와 중등학교가 위치해 행정 구역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동부주 (케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동부주 |
원어 이름 | Mkoa wa Mashariki |
원어 | 스와힐리어 |
구분 | 구 주 |
수도 | 엠부 |
![]() | |
통계 | |
면적 | 140,698.6 km² |
인구 (2009년) | 5,668,123명 |
시간대 | EAT (UTC+3) |
행정 구역 | |
주 | 8개 |
2. 역사
동부주는 역사적으로 메루족, 캄바족, 엠부족 등 다양한 부족과 여러 유목 공동체가 거주해 온 지역이다. 1979년 약 270만 명이었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9년에는 약 567만 명에 이르렀다.[2] 면적은 140698.6km2로, 과거 케냐에서 두 번째로 넓은 주였다.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쳐 2013년에 최종적으로 8개의 카운티로 재편되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2009년 7월 16일, 동부주는 세 개로 세분화될 예정이었다. 마차코스를 주도로 하는 로어 이스턴, 엠부를 주도로 하는 센트럴 이스턴, 그리고 마르사비트를 주도로 하는 어퍼 이스턴으로 나누려 했으나, 당시 케냐 연립 정부 내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이러한 변경은 실제로 시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세분화 시도는 나이로비를 제외한 케냐의 다른 7개 주에서도 동시에 추진되었다.2013년 케냐 총선 이후인 2013년 3월, 동부주는 다음과 같은 8개의 카운티로 최종 세분화되었다.
코드 | 카운티 | 이전 주 | 면적 (km2) | 인구 (2009년 인구 조사) | 주도 |
---|---|---|---|---|---|
10 | 마르사비트 | 동부주 | 66923.1km2 | 291,166 | 마르사비트 |
11 | 이시올로 | 동부주 | 25336.1km2 | 143,294 | 이시올로 |
12 | 메루 | 동부주 | 7003km2 | 1,356,301 | 메루 |
13 | 타라카-니티 | 동부주 | 2609.5km2 | 365,330 | 추카 |
14 | 엠부 | 동부주 | 2555.9km2 | 516,212 | 엠부 |
15 | 키투이 | 동부주 | 24385.1km2 | 1,012,709 | 키투이 |
16 | 마차코스 | 동부주 | 5952.9km2 | 1,098,584 | 마차코스 |
17 | 마쿠에니 | 동부주 | 8008.9km2 | 884,527 | 보트 |
합계 | 140698.6km2 | 5,668,123 | - |
(내용 없음)
동부주는 주로 메루족, 캄바족, 엠부족, 그리고 여러 유목 공동체가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인구는 1979년에 270만 명이었으며, 1999년 인구 조사에서는 4,631,779명, 2009년에는 5,668,123명으로 집계되었다.[2] 면적은 140698.6km2로, 당시 케냐에서 두 번째로 큰 주였다.
3. 지리
3. 1. 주요 지형
케냐 동부주는 북부에 찰비 사막, 중서부에 케냐 산, 북서부에 투르카나 호의 동쪽 절반을 포함한다. 이 지역의 기후는 건조하거나 반건조하며, 가장 중요한 영구적인 강은 에와소 응기로 강이다. 면적은 153404km2로 케냐에서 두 번째로 넓다.
4. 행정 구역
동부주의 행정 구역은 케냐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변화해왔다. 과거에는 여러 구(District)로 나뉘어 관리되었으나, 2010년 케냐 헌법 개정 및 2013년 케냐 총선 이후 현재의 카운티 체제로 재편되었다.
4. 1. 2013년 이전 행정 구역
동부주는 과거 26개 구(district)를 관할했다.- 찰비구
- 엠부구
- 가르바툴라구
- 이겜베구
- 남이멘티구
- 북이멘티구
- 이시올로구
- 캉군도구
- 키브웨지구
- 키투이구
- 큐소구
- 라이사미스구
- 마차코스구
- 마쿠에니구
- 마르사비트구
- 음베레구
- 음보니구
- 중앙메루구
- 남메루구 (니티구)
- 모얄레구
- 무토모구 (남키투이구)
- 므왈라구
- 므윙기구
- 타라카구
- 티가니아구
- 야타구
2009년 7월 16일, 동부주를 세 개 주로 세분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마차코스를 주도로 하는 로어 이스턴(Lower Eastern), 엠부를 주도로 하는 센트럴 이스턴(Central Eastern), 그리고 마르사비트를 주도로 하는 어퍼 이스턴(Upper Eastern)으로 나누는 계획이었으나, 당시 케냐 연립 정부 내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실제로 시행되지는 못했다. 이러한 행정 구역 개편 시도는 나이로비를 제외한 케냐의 다른 7개 주에서도 이루어졌다.
동부주는 면적 기준으로 케냐에서 두 번째로 큰 주였으며, 그 면적은 140698.6km2에 달했다. 인구는 1979년 약 270만 명에서 1999년 4,631,779명, 2009년에는 5,668,123명으로 추산되었다.[2] 주로 메루족, 캄바족, 엠부족 등이 거주했으며, 여러 유목 공동체도 함께 살았다.
4. 2. 2013년 이후 행정 구역 (카운티)
2009년 7월 16일, 동부주는 마차코스를 주도로 하는 로어 이스턴(Lower Eastern), 엠부를 주도로 하는 센트럴 이스턴(Central Eastern), 마르사비트를 주도로 하는 어퍼 이스턴(Upper Eastern)의 세 개 주로 세분화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당시 케냐 연립 정부 내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이러한 변경은 실제로 시행되지 못했다. 이 세분화 계획은 나이로비를 제외한 케냐의 모든 7개 주에서 추진되었었다.2013년 케냐 총선 이후, 2013년 3월을 기준으로 동부주는 다음과 같은 8개의 카운티로 재편되었다.
코드 | 카운티 | 이전 주 | 면적 (km2) | 인구 (2009년 인구 조사) | 주도 |
---|---|---|---|---|---|
10 | 마르사비트 | 동부주 | 66923.1km2 | 291,166 | 마르사비트 |
11 | 이시올로 | 동부주 | 25336.1km2 | 143,294 | 이시올로 |
12 | 메루 | 동부주 | 7003km2 | 1,356,301 | 메루 |
13 | 타라카-니티 | 동부주 | 2609.5km2 | 365,330 | 추카 |
14 | 엠부 | 동부주 | 2555.9km2 | 516,212 | 엠부 |
15 | 키투이 | 동부주 | 24385.1km2 | 1,012,709 | 키투이 |
16 | 마차코스 | 동부주 | 5952.9km2 | 1,098,584 | 마차코스 |
17 | 마쿠에니 | 동부주 | 8008.9km2 | 884,527 | 보트 |
합계 | 140698.6km2 | 5,668,123 | - |
5. 인구
2009년 7월 16일, 동부주를 세 개(로어 이스턴, 센트럴 이스턴, 어퍼 이스턴)로 나누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당시 케냐 연립 정부 내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이후 2013년 케냐 총선을 거쳐 2013년 3월, 동부주는 다음과 같은 8개의 카운티로 재편되었다.
코드 | 카운티 | 이전 주 | 면적 (km²) | 인구 (2009년 인구 조사) | 주도 |
---|---|---|---|---|---|
10 | 마르사비트 | 동부주 | 66923.1km2 | 291,166 | 마르사비트 |
11 | 이시올로 | 동부주 | 25336.1km2 | 143,294 | 이시올로 |
12 | 메루 | 동부주 | 7003km2 | 1,356,301 | 메루 |
13 | 타라카-니티 | 동부주 | 2609.5km2 | 365,330 | 추카 |
14 | 엠부 | 동부주 | 2555.9km2 | 516,212 | 엠부 |
15 | 키투이 | 동부주 | 24385.1km2 | 1,012,709 | 키투이 |
16 | 마차코스 | 동부주 | 5952.9km2 | 1,098,584 | 마차코스 |
17 | 마쿠에니 | 동부주 | 8008.9km2 | 884,527 | 보트 |
합계 | 140698.6km2 | 5,668,123 | - |
5. 1. 인구 변화
동부주는 주로 메루족, 캄바족, 엠부족과 여러 유목 공동체가 거주했다. 면적은 140698.6km2로, 케냐에서 두 번째로 큰 주였다.시간에 따른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79년 인구 조사에서는 2,719,851명이었으며, 1999년에는 4,631,779명, 2009년에는 5,668,123명으로 증가했다.[2]
조사 연도 | 조사일 | 인구 |
---|---|---|
1979년 | 8월 24일 | 2,719,851명 |
1989년 | 8월 24일 | 3,768,677명 |
1999년 | 8월 24일 | 4,631,779명 |
2009년 | 8월 24일 | 5,668,123명[3] |
6. 주민
주요 주민은 쿠시계의 오로모족, 렌디레족, 반투 계열의 캄바족, 엠부족, 메루족 등이다.
2005년 7월에 에티오피아 내전의 여파로 오로모계 민족 간에 학살 사건이 일어났다.[4]
7. 주요 도시
도시명 | 인구 |
---|---|
마보코 | 110,396명 |
이시올로 | 44,154명 |
마차코스 | 41,917명 |
메루 | 38,833명 |
엠부 (주도) | 35,736명 |
모야레 | 27,943명 |
키투이 | 20,419명 |
무윈기 | 15,970명 |
마우아 | 15,536명 |
마르사비트 | 14,907명 |
캉군도・탈라 | 13,356명 |
마투우 | 10,804명 |
8. 인접 주
참조
[1]
웹사이트
Welcome to Keny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3-06-30
[2]
웹사이트
Kenya Census 2009
https://www.scribd.c[...]
[3]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www.citypopul[...]
2016-09-22
[4]
뉴스
取り残された大地と虐殺事件の余波
http://www.news.janj[...]
JANJAN/IPS
2005-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